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지역SW서비스 사업화 신규과제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 공고
- 조회수 168
- 즐겨찾기수 0
- 관심기관등록수 34
- 공유
- 인쇄
- 관심기관등록
- 즐겨찾기
접수기간 | 22.01.10 ~ 22.01.20 15:00 | 관련 홈페이지 | 바로가기 |
(재)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에서는 2022년 정보통신산업진흥원(NIPA)에서 추진 예정인『2022년 지역SW서비스 사업화』의 신규 지원과제 발굴을 위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오니 관심 있는 기업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.
- 지역SW서비스 사업화 지원: 강소SW기업 및 초기스타트업 기업의 SW서비스 개발 및 품질관리, 사업화 지원을 통한 지역SW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
- 지역선도기업 사업화 지원: 지역SW생태계 육성을 위해 SW개발 고도화 및 국내외 마케팅, 투자유치 등 지원을 통해 지역기업의 우수한 SW서비스 개발 및 시장진출기회 확대
- 지역현안해결형 SW개발 지원: 지자체의 현안발굴 및 해당지자체 수요를 기반으로 적용 확약 등을 통해 직접 사업화로 연계할 수 있도록 지역문제 해결형 SW개발 및 실증, 상용화 지원
※2022년 1월 공고 예정인“2022~23년 지역SW서비스 사업화” 제안을 위한 실수요 조사임
※ 본 수요조사 공고를 통해서 신청 및 선정된 기업에 한해 NIPA 지원사업 공모 시 제안이 가능하며, 수요조사 과제 선정 후 사업계획서 고도화를 통해 정보통신산업진흥원(NIPA) 사업공모 시 계획서 제출 예정
※전국 수요조사 선정과제를 대상으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(NIPA)에서 최종 선정 및 탈락 여부 결정
1. 추진목적
◎ 지역의 우수 과제 발굴 및 선정을 통한 NIPA 공모 사업 신청 준비
2. 수요조사 공고 개요
◎ 공고기간 : 2021. 12. 21.(화) ~ 2022. 1. 20.(목)
구분 |
지역SW서비스 사업화 |
||
①지역SW서비스사업화 지원 (2022년~2023년, 2개년) |
②지역선도기업사업화 지원 (2022년,단년도) |
③지역현안해결형SW개발 지원 (2022년,단년도) |
|
지원규모 |
연간384백만원 내외(1과제당) (국비192백만원,지방비192백만원) ※국비50%,지방비50%,민간별도 |
연간384백만원 내외(1과제당) (국비192백만원,지방비192백만원) ※국비50%,지방비50%,민간별도 |
연간1,000백만원 내외(1과제당) (국비3~7억 이내 제안 가능) ※지방재정자립도에 따라 지방비40~60%,민간별도 |
민간부담 |
정부지원금의25%이상(현금10%이상,현물90%이하) |
||
지원 체계 (역할) |
주관:지역SW진흥기관 (SW품질관리,품질컨설팅) 참여: SW기업,대학,연구소 (SW서비스개발 및 사업화) |
주관:지역SW진흥기관 (국내외 마케팅,사업화전략 및 경영컨설팅) 참여: SW기업,대학,연구소 (SW솔루션 개발 및 사업화) |
주관:지역SW진흥기관 (지자체협업 및 지역간 네트워크) 참여: SW기업,대학,연구소 (SW현장적용,실증,사업화) |
지원대상 |
(공통)사업 공고일 기준 본사 소재지(등기부등본상)가 대구인SW사업자신고 기업 (지역선도기업 사업화 지원)연구개발투자비율 평균3점이상또는성장단계별 역량 평균3점이상인 기업(주관/참여기업 모두 해당)※별첨1.선도기업 배점기준 산출표 |
||
*주관기업 기준,컨소시엄 구성 시 주관/참여기업의50%이상은 대구지역기업으로 구성 |
|||
선정절차 |
①광역별 수요조사 공모 및②지원과제 선정 후③NIPA공모사업 지원을 통해 최종 확정 |
||
선정규모 |
광역별 지원개수3개 이내 |
광역별 지원개수3개 이내 |
광역별 지원개수1개 (초광역 제안 가능) |
※본 선정 규모는NIPA공모사업 지원을 위한광역별 지원가능 개수를 의미 |
|||
지원 내용 |
SW서비스개발, SW품질관리,전문가 자문(MP회의) |
고도화,성능테스트,국내외 마케팅,컨설팅,투자유치 등 |
지역문제해결형* SW개발 및 실증,현장적용,상용화 (SOS지원과제 중복지원 불가) *산업현장혁신,정주개선,갈등해결 |
기대효과 |
강소SW기업 및 초기스타트업 기업의SW서비스 사업화 지원을 통한 지역SW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 |
지역SW생태계 육성을 위해 지역기업의 우수한SW서비스 개발 및 시장진출기회 확대 |
지자체의 현안발굴 및 해당지자체 수요를 기반으로 적용 확약 등을 통해 직접 사업화로 연계 |
※ NIPA 실공고(1월 예정)에 따라 상기 내용은 일부 변동될 수 있음
◎ 사업 추진절차
구분 |
2021년12월 |
2022년1월 |
2022년2월 |
2022년3월∼ |
1단계 (지역SW진흥기관: DIP) |
지역 수요조사 실시 및 과제 접수 |
지역 자체평가(발표)및NIPA공모과제 선정 |
과제 고도화 및NIPA공모사업 신청 |
협약 체결 및 사업수행 |
2021.12.21.(화) ~2022.1.20.(목) |
2022.1월 넷째주(예정) |
- |
||
2단계 (정보통신산업 진흥원(NIPA)) |
- |
NIPA사업 공고 및 사업설명회 |
최종 선정평가 (1차 서면평가, 2차 발표평가) |
|
2022.1월중(예정) |
2022.1월말~2월중(예정) |
· (참여기업)SW기업(SW사업자신고) 및 대학, 연구소 등(타 지역 가능)
- 사업공고일 현재 진흥원 및 정부로부터 참여제한 조치 중인 업체는 (주관기업(관), 주관기업(관)의 장, 참여기업(관), 참여기업(관)의 장, 총괄책임자 등)신청 불가
※ 국가R&D사업관리서비스(http://rndgate.ntis.go.kr) 제재정보 검색에서 확인가능
-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채무불이행으로 규제 중인 자 및 국세 또는 지방세 체납으로 규제중인 자(기업)
- 국가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 기술이전 사업으로 지원받은 과제 제외
- 기타 관련규정, 중복성, 신청자격 등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
※ 신청과제는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(www.ntis.go.kr)을 통한 중복성 사전 검토 후 제출(필수)
3. 평가방법 및 기준
◎ 평가일정/장소 : 2022. 1. 26.(수)(예정)/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본원(수성구)
※평가일정 및 장소 최종 확정 후, 과제 접수기업 대상으로 별도 안내 예정
◎ 평가방법
- 선정기준
· 평균점수가 동점일 경우(소수 둘째자리까지) 사업경쟁력, 정책부합성의 합계점수가 높은 과제순으로 우선순위 결정
· 60점 이상 기업 중 고득점순에 따라 차순위(후보)기업 선정 가능
①지역SW서비스사업화 지원 |
②지역선도기업사업화 지원 |
③지역현안해결형SW개발 지원 |
3개 이내 |
3개 이내 |
1개 |
평가항목 |
세부 평가지표 |
배점(100점) |
정책부합성 |
정부/지자체 정책 방향과의 부합성 과제 추진 목적의 필요성 및 타당성 |
30점 |
기술경쟁력 |
국내외,타사 기술 대비 자사기술의 우수성 및 차별성 관련 기술 보유 현황 및 개발 진척 현황 등 |
20점 |
사업경쟁력 |
수요처 확보 현황 및 예상 수요처 현황 마케팅 및 사업화 계획의 구체성 개발물의 사업화 가능성 및 파급효과 |
40점 |
사업관리 |
1, 2차년도 추진 목표 달성을 위한 사업관리 계획의 적절성 사업 추진 및 관리 투입인력의 전문성 수행기관PM의 해당분야 전문성 등 |
10점 |
4. 신청서류 및 방법
◎ 공고기간 : 2021. 12. 21.(화) ~ 2022. 1. 20.(목)
◎ 접수기간 : 2022. 1. 10.(월) ~ 2022. 1. 20.(목), 15:00까지
※ 우편 및 방문 제출 시, 마감시간 이후 접수 불가
◎ 접수방법
- 담당자 e-mail로 한글 및 PPT파일 별도 사전 제출 후, 직접방문 또는 우편으로 접수
◎ 제출서류
연번 |
제출서류 목록 |
원본/사본 |
부수 |
비고 |
1 |
수요조사 제안서 |
원본/사본 |
1부/ 7부 |
총8부 (책자제본 불필요,집게활용) |
2 |
발표자료 |
원본/사본 |
1부/ 7부 |
총8부 (책자제본 불필요,집게활용) |
3 |
사업자등록증,법인등기부등본, SW사업자 신고서 |
사본 |
각1부 |
주관 및 참여기업 제출 |
4 |
2020년 표준재무제표 2021년 부가가치세표준증명원 |
사본 |
각1부 |
주관 및 참여기업 제출 |
5 |
국세,지방세 납입증명서 |
원본 |
각1부 |
주관 및 참여기업 제출 |
6 |
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|
원본 |
1부 |
주관 및 참여기업 제출 |
7 |
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 |
원본 |
1부 |
주관 및 참여기업 제출 |
8 |
NTIS중복성 검사 결과 |
원본 |
1부 |
주관 및 참여기업 제출 |
9 |
홍보 영상 |
원본 |
1개 |
기업 제품(솔루션 등) 홍보 영상(5분 이내) |
※ 제안서 양식은 3개 사업별로 상이하므로, 해당하는 양식에 작성하여 제출
◎ 제출처 및 문의처
·주소 : 대구광역시 수성구 알파시티1로 170(대흥동) 5층 506호
- 문의처 : (재)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SW융합클러스터팀
구분 |
담당자 |
연락처 |
|
①지역SW서비스사업화 지원 |
곽재탁 선임 |
053-215-3603 |
kwak1365@dip.or.kr |
②지역선도기업사업화 지원 |
윤혜임 선임 |
053-655-0613 |
hyeim@dip.or.kr |
③지역현안해결형SW개발 지원 |
5. 유의사항
◎ 의무사항
※ 사업 공고일 기준 본사 소재지(등기부등본상)가 대구인 SW사업자신고 기업
- SW중심의 과제지원으로, 하드웨어 관련투자는 총 사업비 30% 이내로 제한
※ 예산 중 개발장비, 하드웨어 제품 설계, 목업, 디자인 등의 관련 비용은 30%이내로 제한함
- 정부지원금(국비+지방비)의 25% 이상(현금 10% 이상, 현물 90% 이하)민간부담금 의무매칭
- 개발결과물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및 상용화 방안(계획) 명확히 작성
- 과제별 1, 2차년도 결과물 명확히 정의하여 작성
※ 1차년도 수행실적 및 성과 저조시 지원 중단될 수 있음
-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(www.nits.go.kr)와 R&D 관리시스템(www.emd.go.kr) 에서 과제 중복 검토 및 사전 검토 철저
- 수요조사 시 선정된 과제는 DIP 주관으로 공동 사업계획서 작성 후, 정보통신산업진흥원(NIPA) 본 과제 공고 시 사업 제안, 수요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과제는 참여가 제한 될 수 있음
- 공모과제 최종선정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(NIPA) 선정평가에서 최종 결정됨
- 사업비 1억원 당 1.2명 신규인력 의무고용(과기정통부 성과관리계획에 근거)하여야 하며 신규채용 인력은 전담기관 접수공고일 기준 3개월 이전부터 기술개발사업 종료일 이내 채용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내국인에 한함
- 수요조사 제안서 작성 등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은 별도로 지불하지 않으며, 제출된 모든 자료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
- 사업수행 중 주관기업의 타 지자체 본사 이전 시 진흥원 및 지자체의 지역 내 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 취지를 위배, 사업 포기의사로 간주하며 사업비 환수 조치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
-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발전기금 운용·관리규정
- 기금 사업비 산정 및 정산 등에 관한 지침
-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기준 준용
※ NIPA 사업 공고 시, 관련규정은 변동될 수 있음
- 최초 등록일 : 21.12.22
- 최종 수정일 : 21.12.22
